twitter가 생각보다 빨리 국내에 퍼지고 있다. 아마도 김연아 선수가 twitter를 시작하면서 그 입소문이 한국 유저들을 끌어들였고, 거기에 해외 진출에 활발한 연예인들이 tweeting을 시작하면서 이용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국내 정치인들의 가세 역시 twitter 한국 이용자 수 급증에 한 원인일 것이다.

me2day는 어떨까. twitter보다 먼저 서비스를 시작했고, 비슷한 서비스인 플레이톡을 압도하며 국내에서 어느 정도 자리 잡은 서비스라 할 수 있겠다. 아울러 국내 통신사들과 결합한 요금제를 도입해 문자 송수신을 통해 마이크로 블로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높인 점이 강점이라 하겠다.

국내에선 어떤 서비스가 일반 유저들에게 더 어필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 전에 먼저, 국내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20 세기말 IMF와 함께 찾아온 IT 및 벤처 열풍과 함께 대한민국의 WorldWideWeb은 급격한 발전을 이룩해 왔고, 한때는 대한민국의 대표 포털인 다음과 네이버가 세계 10대 사이트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이제는 모두 옛 이야기일 뿐이다.

대한민국의 인터넷 업계는 최근들어 그 발전 속도가 느려진 이른바 "성숙기"의 시장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대한 민국의 인터넷 판도를 주도 하는 포털들은 또다른 혁신을 통해 이 "성숙기"를 박차고 나가 새로운 발전의 발판을 찾으려 하고 있다. IPTV, 지도,모바일, 지능형 검색, SNS 서비스 등이 그 것이다. 그리고 2009년 현재 이 변화의 중심에는 "모바일 웹"과 이를 뒷받침해주는 "스마트폰"이 오롯하게 자리잡고 있다.

최근 애플의 아이폰 국내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이 "모바일 웹"의 활성화로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이폰이,스마트폰이, 단지 "모바일 웹"의 활성화에만 기여한다고 단정지어 말할 수 있을까? USIM 칩을 사용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 사실 국내에선 아직 100% 가능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  3G 스마트폰의 미래에는 "모바일 웹" 그 이상이 숨겨지 있으며, 그것은 바로 "인터넷의 (진정한) 세계화" 라 지칭 할 수 있다.

내가 들고 있는 전화기로 전세계 어디서나 전화와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connected된 인터넷 서비스는, 각 국가와 지역,민족별로 나누어진 localized 인터넷 서비스들을 하나 둘씩 흡수 할 수 있을 것이다.

*

근 2-3년 전만 하더라도, 미국 혹은 여타 선진국의 특정 인터넷 서비스가 유행 하게 되면, 국내의 주요 포털은 이 서비스를 국내 실정에 맞게 재해석한 서비스들을 내놓곤 하였다. 그리고 상당 부분 이 전략은 성공하였고, 국내의 인터넷 유저들은 다른 나라의 인터넷 유저들과 비슷한 서비스 - GB단위의 무제한 메일, UCC ,블로그 등- 를 좀더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세상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우리의 일상은 다른 국가의 정치/사회/문화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수출 강국 대한민국의 경제는 전세계 경제의 부침에 파고를 거듭하고 있다. 90년대에 태어난 새로운 세대는 컴퓨터를 비롯한 인터넷을 능숙하게 다루며, 회화 중심의 양질의 영어교육을 토대로 외국인과의 온-오프라인 접촉에 더이상 거리낌이 없다. 다시 말하자면,  "문법만 달달 외우곤,외국인 앞에선 벌벌 떠는" 이전 세대의 한국인의 모습을 더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렇게 더욱더 세계의 중심에 편입하는 - 사실은 미국에 addicted된 - 대한민국의 인터넷 서비스가 과연, 과거처럼 한국인만 대상으로 하는, 우리들 끼리만 모여 노는 서비스로 성공할 수 있을까?

global한 인터넷 서비스는 다른 국가의 사람들과 좀더 밀접한 관계를 맺게 해줄 것이며 대한민국의 다음을 준비하는 어린 세대들은 이런 국제적인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호감을 느낄 것이다.

즉, 다음 vs 네이버의 대결 구도가 더이상 의미 없는 이유가 단순히 국내 인터넷 산업이 정체기에 접어 들었기 때문이 아니라, 다음이 구글과 경쟁해야 하고, 네이버가 US야후와 경쟁해야 하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인터넷 서비스가 더이상 지역화된, 한국이라는 특정 국가/집단에 특정화된 서비스로 남아있을 필요는 없는 것이며, 우리들의 인터넷 서비스는 충분히 세계속으로 진출 할 만한 퀄리티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측면에서, 개인적으로 네이버 검색의 일본 진출이 성공하길 바라고 있다. 문화적으로 친숙한, 그리고 시장 가치가 풍부한 일본 진출은 향후 중국을 위시한 아시아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영어 사용 인구가 대다수인 현재의 인터넷 서비스가 향후 어떻게 변화 할지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생각을 정리하고 있으며, 차후 포스팅할 예정 -

*

물론, 이른바 "세계화"된 인터넷 서비스가 각 국가와 지역에서 정착한 성공적인 서비스를 모두 몰아 낼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세계화"와 더불어 공고히 다져지고 있는 "지역화"된 사회, 즉 전세계 누구나 알고 있고 즐겨 마시는 "코카콜라"와 대한 민국의 "식혜"가 공존하는 사회, 세상은 그렇게 변화 하고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 또한 이러한 "양극화"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양극단 중 어느 하나를 분명하게 선택하지 못한 서비스는 몰락할 수 밖에 없으리라 여겨진다.

그렇다면, "누구나 쓸 수 있는 세계화된 서비스" 혹은 "해당 지역에 밀착화된 지역적 서비스"를 나눌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이며 미투데이,트위터를 비롯한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는 이 중 어떤 형태에 속할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

마이크로 블로깅의 특성을 생각해 보자면, "간단한 메시지 작성","신속성", "즉시성","손쉬움", "유저수", "모바일등의 타 플랫폼과의 연동성"을 들 수 있다. 미투데이는 국내 서비스라는 장점을 토대로 모바일,네이버와 손쉬운 연계성 가지고 있으며, "즉시성","신속성","유저수"의 측면에서는 트위터가 우세라 할 수 있다. 이 중 어떤 속성이 "비교 우위"가 아닌 "절대 우위"적 파워를 발휘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그렇다면 트위터에 대항 하는 미투데이의 전략은 어떨지 쉽게 짐작이 된다. 이미 충분히 세계화된 서비스인 트위터에 맞서기 위해선 지금까지의 다른 서비스들이 그래 왔듯, 한국인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 하는 지역화 전략 - 이통사와의 유대관계 강화, 네이버 플랫폼과 연계화 극대 등-을 취할 수 밖에 없으리라 본다.

그리고, 그 지역화 전략의 성공은 결국 기존의 다른 서비스들이 그래 왔듯이 "얼마나 많은 유저들을 끌어 들일 수 있는가, 얼마나 오랫동안 유저들을 해당 사이트에 붙잡아 둘 수 있는가"로 귀결될 것이다.

허나, 이미 전세계와 연결 되는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를 접한 유저들이 얼마나 미투데이에 집중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랭키닷컴이 발표한 09년 5월 국내외 마이크로 블로깅사이트 순 방문자수에서는 이미 트위터가 우세를 점하기 시작 하였다. (트위터가 15만명, 미투데이가 9만명, 플레이톡이 3만명)

향후 트위터에 대한 열기가 사그라들고, 미투데이에 얼리-어댑터가 아닌 일반 유저들이 급증하여 그 전세가 역전된다 하더라도, connected Korea를 넘어선 connected World 서비스에 대한 유저들의 열망은 더욱더 커지리라 본다. 그리고 그 열망은 대한민국이라는 좁은 울타리 안을 뛰쳐나와 전세계로 향할 것이다.

*

지금의 2-30대는 대한민국 안에서만 통용되는 싸이월드에서 친구들과 일촌을 맺고 도토리로 구매한 음악을 미니홈피에서 듣는, "사이좋은 월드" 울타리 안에서 맴돌며 살아 왔다. 그러나 이제는 유저를 특정한 틀에 가두려 할 수록 유저는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떠나 갈 수 밖에 없다.

아이튠즈에서 구매한 음악을 방안에서는 PC로 듣고, 거실에서는 TV로 감상하며, 집 밖으로 나와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스마트 폰으로 음악을 듣게 되는 세상, 해외 여행에서 만난 새로 사귄 외국인 친구에게 k-pop을 선물로 전송하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

twitter로 버락 오바마를 follow하고, show-case를 위해 방한한  헐리우드 배우에게 welcome to korea라고 다정하게 메시지를 직접 날릴 수 있는 인터넷, 그것이 바로 진정한 World의 Wide한 Web이 될 것이다.

p.s 1 : 본 article에서 특정 서비스를 거론할 때 해당 서비스 자체의 퀄리티 및 성격
          (UI, UX, 디자인, 유저 성향 등)를 고려하지 않았다.

p.s 2 : 자꾸 언급 하지만 세계화가 pseudo-미국화로 인식되지 않길 바란다.

p.s 3 : 이 글은 여러가지 이야기를 난잡하게 늘어 놓은 관계로, 계속 수정을 가할 예정.
by 차가운차컬릿 2009. 7. 20. 00:56
| 1 |